공간왕이 생각하는 도심형 단독주택
남동향 경사형 건축지
대지면적 78평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
지상 2층
3분할 기법을 적용한
철근콘크리트 단독주택 이야기를 시작 합니다
글을 읽기 전에 손가락을 눌러주시는 센스 ^^
1층 평면 건축설계 스케치
ㄷ자 평면 구성
이번 단독주택은 주차장, 현관, 계단에서 답을 찾았다
1.주차장
2. 현관
3. 계단
현관의 위치는 도로에서 바로 출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간왕이 도로에서 바로 출입하는 현관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뭘까?
빌트인 주차공간과 주방이 제일 좋은 위치에 있을까!
공간왕 3분할 건축설계 기법을 선택한 이유는?

현관에 들어서면
원형창을 통하여 인접 대지의 대나무가 보인다
1층은 욕실이 없고 개방형 세면기와 독립형 화장실로 구성 되었다

현관을 기준으로
정면은 한실, 좌측은 세면실과 화장실, 우측은 거실

거실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실과 주방이 보인다
계단실 하부공간은 어떻게 할까 다시 생각!
(거실에서 아니면 보조주방에서 이용하는 것이 좋을까)
경사형 건축지 --> 거실과 주방공간 30cm차이가 있다
(공간왕의 공간분리 기법 중 하나)
택지지구 단독주택지는 통상 정원 만들기가 쉽지 않지만
작은 정원을 만들어 거실과 연계했다

주방과 빌트인 주차공간을 연결한다면 어떨까
2대의 주차공간이 연계되고,
빌트인 주차공간은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다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빌트인 냉장고를 사용하면 보기 좋다,
하지만 일반 냉장고를 사용면 주방가구 보다
냉장고가 밀려 나온다
냉장고 뒷면 벽을 후퇴 시켜보자
주방에서 정원을 바라 볼 수 있고 간이 독서 공간도 마련했다

주방과 거실 개방형
꼭~ 좋다고는 볼 수 없지만 장점이 많다
공간왕 주방을 제일 좋은 위치에 배치하고 싶은데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정답이 있을까?

주차공간과 주방

2층 평면 건축설계 스케치
피라미드 계단실을 통해 올라오면
공용 욕실과 스타일룸 그리고 부부침실 공간으로 연계된다
스타일룸은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공간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공용욕실 옆에는 작은 개구부가 있다, 개구부 이게 뭘까?
여기는 2층, 세탁기는 1층에 있다
2층 작은 개구부(세탁물 수직통로)에 세탁물을 넣으면 1층 세탁실로 쏙~
공간왕이 가끔 사용하는 동선 단축 기법이다
부부침실은 전실 욕실 다용도실 드레스룸으로 구성되었다
부부침실 넓은 창을 시공하는 이유는?
전실은 많은 비밀이 있다, 어떤 비밀이 있을까?
다용도실과 드레스룸을 분리하는 벽은 언제든지 철거가 가능하다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공간을 꾸밀 수 있다는 이야기

피라미드 계단
지금까지 공간왕 풀지 못하는 비밀이 있다
계단참 벽면에 매입형 작은 선반을 만들자 - 공간왕

2층 바닥 작은 개구부(세탁물 수직 통로)가 보인다 슛~
스타일룸
발코니 침실 계단실과 연계된다
벽을 시공하지 않는다면 개방감이 좋지만
실용성은 쫌~ 그렇다
천장은 지붕 경사와 평행으로 시공하며
일부는 매입형 에어컨 시공으로 평천장으로 한다
만나는 부분은 간접조명으로~

피라미드 계단실은 채광과 환기가 중요하다

부부침실
침실 우측 넓은 창으로 정원이 보이고
정면에는 욕실 드레스룸 다용도실로 들어가는 전실이 보인다
전실의 남향 채광은 부부욕실까지 밝게 만들어 준다
가변성 있는 부부 다용도실은 넓은 드레스룸으로 꾸밀 수 있다

옥상 하늘정원에서


건축설계 vs 시공






주거지역 정북방향일조권제한
인접대지경계선에 벽을 세우고 성토를 해야 하는 이유!


택지지구 도심형 단독주택
내가 보는 집, 다른 사람들이 보는 우리집을
생각해 보자


대지면적 78평
우리가 생각하는 단독주택 그리고 정원
1층 바닥면적 43평 (55%)
테라스 및 정원 17평 (22%)
나머지 18평 (23%)은 어디에 있을까?


빌트인 주차공간
정원으로 열린공간을 만들어 주는 폴딩도어 시공
주방과 연계되어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빌트인 주차 시스템



현관 위치에 대한 생각
우리가 생각하는 현관은 어디에 있어야 할까
현관에 들어가면 왜! 신발장이 바로 보일까?


공간왕의 단독주택 시공 vs 건축설계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