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기 토대 이대로 좋은가? 단독주택 시공 문제점? |
요즘 집짓기 방식 중 많이 선호하는
경량목구조를 예로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읽기 전에 손가락을 눌러주시는 센스 ^^
공간왕이 단독주택 집짓기에 입문하면서
많은 문제를 제기한 사항 중 하나! 바로 " 토대 " 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서 쫌 이상하다 생각 되는 부분이 있나요?

그렇죠~ 바로 이부분 입니다
건물의 하중이 전달 되는 부분 " 토대 "
아래 벽체 밑에 많이 들어가 있는 작은 나무조각은 어떤 일을 할까요?

집짓기 할 때 벽체가 수평으로 세워져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벽체하부에 수평작업이 필요하겠죠
작은 나무 조각을 이용해서 높이 차를 균등하게 하는 거지요
그럼, 이 작은 나무 조각이 과연 단독주택 무게를 지탱 할 수 있을까요? ^^
건축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느끼실 겁니다
사람도 하체가 부실하면 이상이 있는것 처럼 건물도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지금 나만의 집짓기를 하고 있거나, 계획 중 이시라면 관심 있게 보셔야 합니다
평당 얼마예요? 하면서~~ 묻고 듣고 할 것이 아니라
직접 눈으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이게 현실 입니다

내부 벽체도 마찬가지 입니다
건물의 하중이 외벽으로만 전달되는 것은 아닙니다
내벽에도 물론 전달 됩니다, 그 중 힘을 받지 않는 벽을 비내력벽이라고 하지요

여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단독주택 전체가
이 작은 나무조각으로 되있습니다
전문가가 서로 경쟁 할 것은 하고, 부족한 것은 서로 개선해야 되지 않을까요?
사실 문제점들을 공개하고, 개선 하고자 하면 쉽게 풀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단점들을 거론하는 자체를 싫어하죠
참~~ 슬픈현실 입니다
(개선을 하기 위해선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문 기술자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무조건 평당 낮은 건축비 만을 고집하는
건축주에게도 문제가 있지요! 인정 할 것은 꼭~ 인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일본 단독주택 시공 현장 입니다
우리나라와 건축방식이 조금 다르지만
조금은 도움이 되실 것 같아 올려 봅니다
벽체가 세워질 부분에 기초벽이 쭉~~ 있지요, 여기에 수평을 잡기 위해
2cm정도의 높이로 자동수평 몰탈을 시공 합니다
정말 자동으로 오차 없이 수평이 될까요, 아닙니다 한계가 있죠!
그래서 중간 중간에 나사못을 높이에 맞게 시공해서 체크 한답니다
결론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체크 체크 해야만 오차를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3mm오차 범위에 들어가면 OK

나무 밑에 있는 것은 검은색 프라스틱은
높은 구조 강도를 가진 합성재 입니다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과 바닥의 통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됩니다
1~3mm정도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합성재도 있구요

그 위에 이렇게 1층 바닥이 형성 되지요
공간왕이 용인 죽전택지지구에 건축했던 방식과 똑 같습니다

일본주택의 다른 방식의 시공을 볼까요
소형 형강을 접목한 공법
포인트는 한국의 온돌 + 슬라브를 한번에 시공하는 겁니다
물론 바닥 레벨도 정확하게 시공하는 것은 필수!
공간왕도 정말 많은 생각을 했던 부분 입니다

멋진 단독주택 시공은 이렇게
저기 긴 막대를 가지고 뭔가 하고 계신분~~
수평면을 아주 멋지게 잡고 있네요~~ 멋쟁이 *^^*

우리집 기초 토대는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