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형 전원주택 집짓기 공간왕과 기초 시공 구경해 볼까요! |
전원주택 집짓기 시작
기초 부분 중 기초 벽이 완성 되었습니다
기초가 오차 없이 시공 되었다면, 집짓기 반은 성공
그럼 도심형 전원주택 기초 시공 사진을 볼까요
글을 읽기 전에 손가락을 눌러주시는 센스 ^^

건축지 남동측~ 이 부분이 침실공간! 사진 좌측이 정원 공간 잘 보이지 않죠
택지지구에서는 정원 만들기가 쉬운일이 아니지만,
공간왕이 건축설계를 할 때 정원 만들기에 도전을 했답니다

북동측 화장실 및 현관

설비 배관이 지나갈 자리, 콘크리트 타설전에 슬리브를 시공해서 빈공간을 확보!

전원주택 내력벽(힘을 받는 벽)을 지지하게 될 줄기초

체크를 했지만, 다시 또 한번
전원주택을 짓고 건축 준공 받기전 건물 현황측량이라는 것을 받습니다
집짓기 할 때 건물이 인접 부지로 넘어가지 않고, 건축설계 도면상의 위치에 있는지 확인
지적공사에서 나와서 측량을 하고 성과도를 발급해 해줍니다, 건물 준공시 준공 서류에 첨부!
기초가 완성 되고 건물현황측량을 하면 더 확실 하겠죠!

전원주택에서 외부로 나가는 위생 배관 시공 , 배관이 왜 2개 일까요?
맨홀! 최대한 부지 경계 쪽으로 배치 해야 외부 공간이 이쁘게 나옵니다
공사중에는 맨홀 위치에 대해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집을 짓고 나서 보면 외부 공간에
맨홀 뚜겅이 바로 보이게 되기 때문에 건축설계 할 때 부터 위치를 잘 계획하고,
현장에서 체크 해야 멋진 전원주택을 만들 수 있답니다

위생배관 시공 , 배관이 어느 정도 기울기를 가지고 있을까!
사진을 자세하게 보면 이상한 부분이 있다~ 생각을 하게 됩니다
찾으셨나요?

전원주택 설비 배관이 많죠 , 설비 배관이 모여서 시공되는 이유는?

혹~ 이상한 부분을 찾으셨나요?
도심형 전원주택 집짓기 다음 시공은
1층 바닥 철근 깔기와 콘크리트 타설
철근콘크리트 공정이 끝나면, 본격적인 집짓기 시작 목골조 시공~ 시작